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현대모비스는 대한민국 대표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으로, 현대자동차그룹의 핵심 계열사 중 하나입니다. 흔히 완성차 기업인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심장과 뇌 역할을 맡고 있는 회사로 평가되며, 친환경차와 자율주행 시대를 준비하는 핵심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대모비스의 창업부터 현재까지의 성장 과정, 계열사 현황, 그리고 경영 체제를 1대, 2대, 3대 순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현대모비스의 창업과 초기 역사

     

    현대모비스는 **1977년 6월 25일 ‘현대정공(주)’**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창업자는 현대그룹을 세운 정주영 명예회장으로, 당시에는 자동차보다는 기계·철강 관련 사업을 중심으로 했습니다.

    초기 현대정공은 철도차량, 건설기계, 기계 장비 등을 주력으로 하다가 점차 자동차 부품 및 모듈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특히 1980년대 후반부터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급성장하면서 이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되었고, 자동차 핵심 부품 개발에 집중하기 시작했습니다.

     

    1999년 IMF 외환위기 이후 현대그룹이 해체되고, 현대정공은 현대자동차그룹에 편입됩니다. 이후 자동차 중심으로 사업 구조가 재편되며 오늘날 현대모비스의 기틀을 다지게 되었습니다.

    2000년, 회사명은 **현대모비스(HYUNDAI MOBIS)**로 변경되었습니다. ‘MOBIS’는 Mobile + System의 합성어로, 이동수단을 위한 시스템 솔루션 기업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2. 현대모비스의 주요 사업 영역

     

    현대모비스는 현재 세계 5위권에 속하는 글로벌 자동차 부품사로 성장했습니다.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모듈(Module) 사업
      • 차체, 섀시, 운전석 모듈 등을 조립해 완성차에 공급
      • 현대·기아차의 생산 효율성 제고에 핵심 역할
    2. 부품(Parts) 제조
      • 친환경차 핵심 부품 (배터리 시스템, 전동화 부품)
      • 자율주행 센서,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3. AS 부품(After Service)
      • 전 세계 네트워크를 통해 현대·기아차 애프터마켓용 부품 공급
    4. 친환경·미래차 기술 개발
      •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차용 배터리 시스템
      • 자율주행용 레이더·카메라·라이다 센서 개발

    이처럼 현대모비스는 자동차 부품의 단순 제조업체를 넘어, 미래 모빌리티 핵심 기술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3. 현대모비스의 계열사와 글로벌 네트워크

     

    현대모비스는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 중에서 부품 공급망의 중심축을 담당합니다. 직접적인 자회사보다는 현대차그룹 내 수직 계열화 구조 속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주요 관계사
      • 현대자동차, 기아 (완성차 제조사)
      • 현대위아 (자동차 부품·기계 사업)
      • 현대케피코 (엔진 제어 시스템)
      • 현대오트론 (반도체·소프트웨어, 현재 현대오트에버와 통합)
    •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 북미, 유럽, 중국, 인도 등 세계 각지에 생산 및 연구개발 거점 운영
      • 해외 AS 부품망을 통해 전 세계 190여 개국에 부품 공급

    4. 현대모비스의 경영 체제: 1대 → 2대 → 3대

     

    현대모비스의 경영은 현대자동차그룹의 역사와 맞물려 있습니다. 창업주부터 현재까지의 흐름을 세대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① 1대: 정주영 (창업기, 1977년~1990년대)

    • 현대그룹 창업주 정주영 회장이 현대정공 설립
    • 철도·건설기계 → 자동차 부품으로 사업 전환
    • 현대차·기아차 성장 기반 마련

    ② 2대: 정몽구 (성장기, 1999년~2020년)

    • IMF 이후 현대차그룹을 이끌며 현대정공을 현대차그룹에 편입
    • 사명 변경: 현대정공 → 현대모비스(2000년)
    • 모듈·AS부품을 중심으로 세계 10대 자동차 부품사로 성장
    • 적극적인 해외 공장 설립 및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③ 3대: 정의선 (미래 도약기, 2020년~현재)

    •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정의선 체제 출범
    • 전동화, 자율주행,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등 미래차 전략 주도
    • 현대모비스를 배터리·센서·SW 중심의 글로벌 Top Tier 부품사로 육성
    • 친환경차용 핵심 부품 매출이 급격히 확대

    5. 현대모비스의 미래 전략

     

    현대모비스는 단순 부품 업체가 아닌, 글로벌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 현대차·기아 전기차(E-GMP 플랫폼)에 핵심 공급
    • 자율주행 기술: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 센서 융합 기술 개발
    • 수소차 부품: 연료전지 시스템 공급 확대
    • SW·플랫폼 기업 전환: 차량용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

    2030년까지 글로벌 톱3 자동차 부품사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습니다.


    6. 정리: 현대모비스의 의미

     

    현대모비스는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심장과 두뇌”**라 불리며,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을 이끈 핵심 기업입니다. 창업주 정주영의 시대에서 시작해 정몽구의 글로벌 확장, 그리고 정의선의 미래 전략까지 이어지며, 이제는 단순한 자동차 부품업체를 넘어 전동화·자율주행·스마트 모빌리티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반응형